주택 취득세 카드 분할납부 방법 총정리

주택을 취득할 때 반드시 납부해야 하는 취득세는 상당한 금액이 발생하는 세금입니다. 하지만 카드 납부가 가능하며, 일부 카드사의 무이자할부 혜택을 이용하면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면서 납부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본 글에서는 취득세의 개념부터 카드 납부 방법, 무이자할부 카드 정보, 특별 한도 신청 팁까지 상세하게 정리하여 안내합니다. 이를 통해 취득세를 보다 효율적으로 납부하고, 금융 부담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.

 

취득세 카드 분할납부 방법

 

취득세란?

취득세는 부동산뿐만 아니라 차량, 기계장비, 선박 등 다양한 재산을 취득할 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. 단순히 집을 구매하는 경우에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유의해야 합니다. 취득세율은 전국적으로 동일한 기준이 적용되며, 부동산 취득 시 발생하는 추가 세금까지 고려해야 합니다.

 

1) 취득세 납부 시기

  • 부동산을 취득한 날부터 60일 이내 납부해야 합니다.
  • 취득가액(실거래가 기준)으로 세율이 결정됩니다.

2) 주택 취득세율 (1주택 기준)

  • 6억 원 이하: 1%
  • 6억 원 초과 ~ 9억 원 이하: 1~3% (누진세율 적용)
  • 9억 원 초과: 3%

 

3) 추가 부과되는 세금

취득세 납부 시 농어촌특별세지방교육세가 추가로 부과됩니다.

  • 농어촌특별세: 취득세의 10% 부과되며, 단 85㎡ 이하 국민주택 규모의 주택 취득 시 면제됩니다.
  • 지방교육세: 취득세의 10% 추가 부과됩니다.

총 납부 금액 예시 (3억 원 국민주택규모 해당 주택 취득 시)

  • 취득세(1%): 300만 원
  • 농어촌특별세(10%): 30만 원
  • 지방교육세(10%): 30만 원
    총 360만 원 납부 필요

 

 

취득세 카드 납부 방법 및 전자납부 사이트

대부분의 취득세 납부는 이택스(e-tax) 또는 위택스(wetax) 를 통해 이루어집니다.

부동산 소재지가 서울: 이택스(e-tax)
부동산 소재지가 서울 외 지역: 위택스(wetax)

  1. 이택스 또는 위택스 접속 후 로그인
  2. 법무사가 제공한 전자납부번호 입력
  3. 납세고지서 내역 확인 (납세자 정보, 세목명, 과세대상, 세액 확인)
  4. 카드 납부 선택
  5. 일부 납부 옵션 선택 시 여러 카드 분할 납부 가능

주의 사항:

  • 세금 납부는 구청 또는 시청에서 이루어지며, 세무서에서는 납부할 수 없습니다.
  • 법무사를 통해 등기 업무를 진행할 경우, 사전에 카드 납부 의사를 전달해야 합니다.

 

 

최대 12개월 무이자할부 카드 정보 (2025년 4월 기준)

취득세를 카드로 납부할 때 일반적인 신용카드는 무이자할부 적용이 어렵습니다. 하지만 특정 카드사의 이벤트를 활용하면 최대 12개월까지 무이자할부가 가능합니다.

농협카드(NH카드): 최대 6개월 무이자할부 가능
롯데카드(LIKIT 카드): 최대 12개월 무이자할부 가능 (3월까지 한정 이벤트)

 

롯데카드 무이자할부 조건

  • 토스 앱에서 신규 발급 가능
  • 5만 원 이상 결제 시 적용
  • 최근 6개월간 롯데카드 사용 이력이 없는 고객 대상

무이자할부 카드 만들기(25년 4월)

 

취득세 납부 전 준비해야 할 사항

특별한도 신청
취득세는 일반적인 카드 결제 한도보다 금액이 크기 때문에, 미리 한도 상향 신청을 해야 합니다.

  1. 카드사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"취득세 납부를 위한 한도 상향 신청" 요청
  2. 필요 시 매매계약서 제출
  3. 승인이 완료되면 한도가 일시적으로 증가

신용카드 한도상향 신청방법

 

납부 기한 엄수
취득세는 기한 내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 만약 기한을 넘길 경우, 최대 연 10.95%의 가산세가 추가되므로 반드시 기한 내에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분할 납부 옵션 활용
위택스에서는 일부 납부 기능을 제공하여 여러 개의 카드로 나누어 결제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활용하면 신용카드 한도를 초과하지 않으면서도 원활한 납부가 가능합니다.

 

 

취득세 납부 시 무이자할부를 활용해야 하는 이유

현금 유동성 확보: 고액의 세금을 한 번에 지출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이자 절감: 목돈을 파킹통장 등에 예치하여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.
효율적인 자금 관리: 여러 카드로 분할 납부가 가능하므로 자금 계획을 보다 체계적으로 수립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마무리하며

주택 취득세는 반드시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지만, 무이자할부를 활용하면 현금 부담을 줄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자금을 운용할 수 있습니다. 특히 롯데카드의 12개월 무이자할부 이벤트는 3월까지 한시적으로 진행되므로, 해당 혜택을 활용하면 더욱 유리합니다.

이택스 및 위택스를 통한 간편한 카드 납부 방법을 숙지하고, 필요 시 한도 상향을 신청하여 보다 스마트하게 세금을 납부하시길 바랍니다.